최근 변경
최근 토론
메뉴
일반 도구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3.145.83.240
IP 사용자
설정
다크 테마로
라이트 테마로
로그인
최근 변경
더보기
이동
삭제
역사
ACL
BanG Dream!
(r42 문단 편집)
현재 진행 중인
사용자 토론
이 있습니다.
[오류!]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로그인된 사용자(이)여야 합니다. 해당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RAW 편집
== 개요 == [[일본]] 미디어 회사 [[부시로드]]가 잡지 월간 부시로드와 [[전격 G's magazine]]을 통해 [[2015년]]부터 시작한 미디어 믹스 프로젝트. BanG Dream!은 꿈을 꿰뚫는다는 의미로, [[Yes! BanG_Dream!]]의 음반 자켓에서 포피파 멤버들이 손을 총 모양으로 하고 있는 이유가 이것. 리메이크 후에는 한동안 작중에서 이 점에 관해 언급이 없었기 때문에 모르는 이들이 많았으나, 애니메이션 3기의 엔딩곡인 [[꿈을 꿰뚫는 순간에!]]의 공개를 기점으로 다시 작중에서 등장하게 되었다. BanG Dream!(バングドリーム)으로, 줄여서 반도리(バンドリ)라고 불리고 있다. [[일본]]에서는 BanG Dream 로고에 반도리(バンドリ)라는 [[가타카나]] 표기가 붙어 있기 때문에 다르게 읽는 경우는 거의 없다. [[한국]]에서는 반도리, 방도리, 뱅드림이 혼용되어 쓰인다. 드물게 뱅꿈이라고 부르는 사람도 있다. 게임 한정으로 한국 내 서비스판을 한도리라 부르기도 한다. 캐릭터, 만화 연재, 일러스트, 실제 걸즈 밴드(성우 유닛)라는 4개의 항목으로 구성되어 부시로드 작품 중 밀키홈즈에 이은 하나의 아이콘으로 자리잡고 있다. [[성캐일치]]의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다. 주요 등장인물들이 [[파스파레]]를 제외하면 다들 아이돌은 아니지만, 악기가 댄스를 대신할 뿐 [[아이돌물]]들과 비슷한 면이 있기 때문인지 밴드물 보단 아이돌물처럼 취급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인지, 일반적인 밴드 음악과 달리 곡 전체를 파트별로 나누거나, 후렴구를 멤버 전원이 부르는 등 일반적인 록밴드처럼 보컬이 혼자 다 부르는 형태가 아닌 곡도 있는데, 이런 구성은 락보단 아이돌용 노래 편곡에서 더 잘 쓰인다.][* 또한 [[2020년]] [[쿠라타 마시로]]의 보컬이 비판 받던 시절엔 옹호측에서 성장 가능성을 주장하며 옹호하는 경우도 있었는데, 성장형 주장 자체는 [[가상 아이돌]]도 간혹 포함되지만 성장형 아이돌이란 개념은 [[2000년대]]부터 [[일본 아이돌]]에서 자주 나오는 주장이다.] 실제로 캐스팅된 성우진 중에서는 [[마에시마 아미|진짜 아이돌 출신]]도 있고 아이돌물에 겸하여서 출연하고 있는 성우진도 몇 있다. 그리고 후술하겠지만 그 시작이 [[아이돌 마스터 밀리언 라이브]]의 [[줄리아(아이돌 마스터 밀리언 라이브)|줄리아]]에게 영감을 얻어서였다고 하니. 당시 기존 아이돌 [[미디어 믹스]]에 지겨워진 팬들로부터 음악의 한 부주류인 락, 밴드라는 신선한 소재로 관심이 쏠리고 있어서 그 유입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특히 국내에선 [[BanG Dream!/라이브#걸즈 라이브&걸 파티 in 도쿄|걸파 라이브]]의 [[라이브 뷰잉]]을 시작으로 [[애니플러스]]를 통해 엄청나게 밀어주고 있는 시리즈이면서 [[뱅드림! 걸즈 밴드 파티!]]가 [[카카오게임즈]]로부터 퍼블리싱을 함과 동시에 국내 한정으로 다양한 이벤트가 개최되고 있어 [[팬서비스]]는 확실히 하고 있다는 것에서 화제거리가 되었다. 애니메이션 세컨드 시즌을 기준으로 다른 미디어 믹스와는 차별된 화려한 3D 라이브 연출과 다양한 컨셉에 밴드 크루들, 대체적으로 노골적인 [[백합(장르)|백합]] 연출도 없고 수위도 그렇게 높지 않기 때문에 전연령층의 유입이 상당히 컸으며, 본가 시리즈보다 [[스핀오프]]인 [[걸파 피코]]가 인기가 더 많다는 점이 인상적이다. 그리고 지금 현재 아이돌이라는 직업이 주류로 떠오르고 있어서 다양한 매체를 통해 남녀노소 아이돌물을 접하기 시대에 도래했으며, 뱅드림도 이에 영향을 받아 이젠 어린 아이들까지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면서, 단순 서브컬처를 넘어 대중적인 미디어 믹스로 성장하기 시작했다.
im preview
angelwiki.org | Operated by LightLab |
개인정보 처리방침
| Powered by The Tree
라이트랩 | 대표자: 전노아 | 사업자등록번호: 587-16-02374 | 담당자: 호시아 니나 | 담당자 연락처:
[email protected]
| 고객센터:
문의
/
신고
clue
|
the tree
닫기
사용자 문서
문서 기여 내역
토론 기여 내역
(없음)
×
설정
위키
토론
스킨
테마
자동 (시스템 설정)
라이트
다크
표 워드랩 사용 안 함
사용
문단을 기본으로 접기
사용
접기 문법을 기본으로 펼치기
사용
취소선
보이기
취소선 제거
숨기기
각주 표시 형식
브라우저 기본
팝오버
팝업
기본 편집 모드
편집기
RAW 편집
상대 시간 표시를 사용하지 않음
사용
취소선
보이기
속성 제거
숨기기
굵음
보이기
속성 제거
숨기기
사이드바 설정
고정
숨김
우측 표시
하단 표시
내비게이션 바 고정
사용
페이지 이동 시 검색 창 초기화
사용